넷플릭스 요금제 종류 및 가격 할인 싸게 보는 방법 총 정리

한 달에 17,000원이라면 웬만한 OTT 다섯 개를 구독할 수 있다던데, 넷플릭스 요금은 오르고, 계정 공유는 막히고 답답한 분들 많으시죠?
넷플릭스 요금제를 비교해보고 가격 할인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넷플릭스 요금제 종류와 가격

넷플릭스 요금제 종류와 가격

넷플릭스는 현재 3가지 요금제를 운영 중입니다.

월 정액 기준으로 가장 저렴한 광고형 스탠다드부터, 가족 단위 시청에 적합한 프리미엄 요금제까지 선택지가 나뉘어 있어요.
넷플릭스 한 달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요금제 월 요금 화질 동시 시청 기능
광고형 스탠다드 5,500원 HD 2명 광고 포함, 일부 콘텐츠 제한
스탠다드 13,500원 Full HD 2명 광고 없음, 전체 콘텐츠 이용 가능
프리미엄 17,000원 4K UHD + HDR 4명 다운로드 최대 6대 기기

광고형 스탠다드는 가장 저렴하지만 광고가 나오고, 일부 콘텐츠는 제한돼요.

넷플릭스 요금제 자세히 알아보기


그래도 가볍게 보는 사람에게는 나쁘지 않습니다. 넷플릭스 베이직 요금제는 현재 제공되지 않으며, 광고형 스탠다드가 사실상 그 대체 상품입니다.
스탠다드 요금제는 광고 없이 넷플릭스를 즐길 수 있고, Full HD 화질과 2명 동시 시청이 가능합니다. 연인이나 부부, 자녀와 함께 보는 경우에 적합해요.
프리미엄 요금제는 4K 화질과 최대 4명까지 동시 시청이 가능해 가족 단위 이용자에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다만,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이 시행되면서 같은 집에서만 이 인원을 나눠 쓸 수 있다는 점 참고해야 해요.
가성비만 따지면 프리미엄 요금제를 4명이 나눠 쓰는 게 가장 저렴했지만, 이제는 계정 공유 제한으로 그 방식이 사실상 불가능해져 요금제 선택 전략이 달라졌습니다.

넷플릭스 요금제 변경 및 해지 방법

넷플릭스 요금제 변경 및 해지 방법

넷플릭스 요금제 변경은 웹사이트나 앱의 ‘계정’ 메뉴에서 ‘플랜 변경’으로 간단히 할 수 있으며, 다음 결제일부터 적용됩니다. 프리미엄에서 스탠다드로 변경하려면 해당 옵션을 선택하고 저장하면 됩니다. 계정 공유 제한으로 인해 혼자 사용할 경우 고가 요금제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비용 절약이 가능합니다. 넷플릭스를 해지하려면 ‘멤버십 해지’ 메뉴에서 절차를 따른 후 해지 가능하며, 해지 후에도 남은 기간 동안 시청할 수 있습니다. 통신사 제휴로 가입한 경우에는 해당 통신사를 통해 해지해야 합니다.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 및 단속 방식

넷플릭스 계정 공유 금지 및 단속 방식

넷플릭스 계정 공유, 이제는 사실상 막혔습니다.
2023년 11월부터 한국에서도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이 본격 도입되면서, 기존처럼 친구나 지인과 요금을 나눠 쓰는 방식은 거의 불가능해졌어요.
넷플릭스는 ‘같은 가구 내 사용자’만 계정을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 기준은 주로 IP 주소, 시청 위치, 와이파이 환경을 바탕으로 판단합니다.

공유 단속 방식은 어떻게 작동하나요?

다른 IP에서 접속을 시도하면 넷플릭스는 계정 소유자에게 인증 코드를 이메일 또는 문자로 보냅니다.
해당 코드를 입력해야만 시청이 가능해지고, 이 인증은 2주 주기로 반복돼요.
즉, 같은 집이 아니라면 계속해서 인증을 받아야 하고, 이를 관리하는 것도 불편하기 때문에 타인과의 공유는 사실상 차단된 셈입니다.

추가 계정은 만들 수 없나요?

넷플릭스는 계정 공유를 막는 대신, ‘추가 회원’ 기능을 도입했어요.





프리미엄 요금제 기준으로 월 5,000원을 추가하면 1명을 초대해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같은 가구가 아닌 사람과 공유하는 공식적인 유일한 방법이고, 스탠다드 요금제는 추가 회원 기능을 지원하지 않아요.

계정 공유 제한이 불러온 영향은?

가장 큰 변화는 요금 부담 증가입니다.
예전에는 프리미엄 요금제 4명이 나눠 써서 인당 약 4,250원이면 됐지만, 이제는 각자 요금제를 따로 가입해야 해요.
자연스럽게 1인 요금이 최소 13,500원(스탠다드 기준)으로 확 올라가게 됐죠.
결국, 혼자 보는 경우엔 요금제를 낮춰야 하고, 가족이나 같은 집에 사는 사람들과만 공유가 가능하니
플랜 선택 전에 실제 사용하는 사람의 위치와 시청 환경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넷플릭스 요금 할인 받는 방법

넷플릭스 요금 할인 받는 방법

넷플릭스 싸게 보는 법? 무조건 정가 내고 보지 않아도 됩니다.
할인 카드나 통신 상품만 잘 조합해도 월 몇 천 원씩 절약할 수 있어요.

1. 신용카드 할인 혜택 정리

넷플릭스 할인 방법 중 가장 간편한 건 할인 특화 신용카드를 쓰는 거예요.






대표적인 할인 카드는 아래와 같습니다:

  • NH농협 지금 스트리밍 카드
    넷플릭스를 포함한 스트리밍 6개 서비스에서 월 최대 5,000원 할인
    추가로 쿠팡와우, 배달의민족 멤버십 등에서도 월 최대 7,000원 할인
  • 삼성 iD ON 카드
    스트리밍, 교통, 통신에서 통합 월 10,000~20,000원 할인
    자동 맞춤 30% 할인 기능 있어서 넷플릭스 외 다른 영역도 커버 가능
  • 하나 원더영 카드
    OTT, 온라인 쇼핑, 배달 등에서 월 최대 8,000원 할인
    혜택 선택 자유도가 높아 자취생, 20대에게 특히 유리
    이 카드들만 잘 써도 넷플릭스 스탠다드 요금(13,500원)을 실질적으로 5,500원 수준까지 낮출 수 있어요.
카드 할인 금액 특징
NH 지금 스트리밍 최대 5,000원 넷플릭스 포함 6개 스트리밍 할인
삼성 iD ON 최대 20,000원 30% 맞춤 할인, 종합 혜택
하나 원더영 최대 8,000원 선택형 할인, 젊은층 적합

 

2. 통신사 제휴 할인
넷플릭스 싸게 보는 또 다른 방법은 LG U+의 ‘유독(U+tv 독점)’ 상품이에요.






U+tv를 이용 중이라면 넷플릭스를 포함한 OTT 묶음 요금제를 통해 월 4,000원대 수준으로 넷플릭스를 시청할 수 있어요.
이는 개인이 직접 할인카드 쓰는 것보다 편하고 자동으로 할인되기 때문에 가족 단위 IPTV 사용자에게 특히 유리합니다.
단, 통신사 제휴 할인은 약정 조건이나 요금제 등급에 따라 혜택이 달라질 수 있으니 가입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해요.

3. 해외 기프트카드 활용은 불가
미국이나 캐나다 등 일부 국가에서는 넷플릭스 기프트카드를 활용해 요금 충전이 가능한데요, 한국에서는 이 방법이 막혀 있어서 사용 불가입니다.
국내 사용자라면 카드 할인이나 통신사 결합이 가장 현실적인 선택이에요.

넷플릭스 요금제 연도별 변동사항 및 비교

넷플릭스 요금제 연도별 변동사항 및 비교

넷플릭스 요금제는 매년 조금씩 올라왔어요.
특히 계정 공유 금지와 맞물리며 실질적인 체감 가격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예전엔 프리미엄 요금제 4명이 나눠 쓰면 인당 4,000원대였는데 지금은 한 명씩 따로 가입하게 되면서 요금 부담이 확 늘어났죠.

년도 광고형 스탠다드 스탠다드 프리미엄
2019년 제공 안 함 11,000원 14,500원
2021년 제공 안 함 13,500원 17,000원
2023년 5,500원 13,500원 17,000원

2023년부터 새로 등장한 광고형 스탠다드는 저렴한 대신 콘텐츠 제한과 광고 시청이 필요해요.
과거에는 요금 인상에 앞서 동시 시청 인원 증가나 화질 향상같은 기능 업그레이드가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일정 부분 납득할 수 있었어요.
하지만 최근엔 기능은 그대로인데 계정 공유 제한이 생기면서 개인이 전액 부담하는 구조로 바뀌었기 때문에 가성비가 떨어졌다는 불만이 생기고 있습니다.
특히 가족 이외 사용자와 함께 보던 사람들은 요금제 변경 없이도 체감 요금이 2~4배로 증가했어요.
그렇다고 무조건 프리미엄으로 갈 필요는 없어요.
혼자 보는 경우라면 스탠다드나 광고형 스탠다드로 변경해서 스스로에게 맞는 플랜을 새롭게 정비하는 게 이득입니다.

결론

넷플릭스 요금제는 사용자의 시청 습관과 예산에 맞춰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어요. 광고형부터 프리미엄까지 구성도 명확하고, 할인 혜택이나 통신사 제휴를 활용하면 부담도 줄일 수 있어요. 계정 공유 제약이나 가격 인상 이슈가 있긴 하지만, 여전히 콘텐츠의 양과 질에서는 강력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어요. 자신에게 맞는 넷플릭스 요금제를 잘 선택해 현명하게 즐겨보세요.

Leave a Comment